방사선 공부의 첫 걸음…
방사선학 공부를 하거나 방사성동위원소 관련 면허를 공부함에 있어서 중요한게 무엇인지 알고
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 나가는게 가장 중요한 것인 것 같습니다.
방사선취급일반면허 (RI) , 방사선취급감독자면허 (SRI)
원자력 이론, 방사선취급기술, 방사선장해방어, 원자력관계법령 까지 제가 공부해왔던 방식과
쉽게 암기하는 방법까지 정리하여 공유하려고 합니다.
원자력 이론
1.원자와 원자핵
1) 원자 및 원자핵의 구조
모든 물질은 원자(atom)로 이루어져 있다. 원자는 그 중심에 핵이 있고 이 핵 둘레를 전자가 돌고 있다.
핵은 양상자와 중성자라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통틀어 핵자 (핵을 구성하는입자) 라고 부른다.
전자는 electron의 앞 글자를 따서 e라는 기호를 쓰고, 양성자는 proton의 P를, 중성자는 neutron의 n을 기호로 쓴다.
또한 전자는 – 의 전하를 가지고 양성자는 +의 전하를 중성자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다.
이때 정지해 있는 전자의 질량은 9.1×10-31㎏으로서 이 전자의 정지 질량을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.
(이 에너지는 정지질량에 상당하는 에너지라고 해서 정지질량-에너지 또는 정지에너지 라고 한다.)
여기서 아인슈타인의 질량-에너지 등가 원리 라는 중요한 개념이 등장한다. 바로 E=mc2 이다.
E는 에너지, m은 질량, c는 진공속에서의 빛의 속도 (광속)을 의미한다.
이 원리는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질량이 사라지면 그 사라진 몫만큼이 에너지로 된다는 것이다.
이 원리에 의해 전자의 정지질량을 모두 에너지로 변환하면 전자의 정지에너지는 약 0.511Mev가 된다.
요점정리
-
원자 : 원자핵 + 궤도전자
-
원자핵 : 양성자 + 중성자 ( 이들을 통틀어 핵자라고 한다 )
-
전자의 정지 질량 : 9.1×10-31㎏
-
전자의 정지에너지 : 0.511 Mev
-
질량-에너지 등가원리 : E=mc2 ( c2은 질량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계수 )
-
진공에서의 광속 c = 3×108 ㎧
-
J(줄) 은 유도단위로서 기본단위의 조합이다 : J=㎏*m2/s2
-
1eV=1.6×10-19J , 1MeV=1.6×10-13J
-
전자의 질량 : 양성자 또는 중성자 질량의 1/1840
-
질량 크기순 : 중성자 > 양성자 > 전자
-
중성자의 질량 > 양성자의 질량 + 전자의 질량
-
원자 및 원자핵의 구조
-
-
주요 접두어
-
- 2)